팝업레이어 알림

850.jpg

2024.06.17 (월)

  • 구름많음속초33.6℃
  • 구름많음30.8℃
  • 구름많음철원29.1℃
  • 구름많음동두천28.8℃
  • 구름많음파주27.8℃
  • 흐림대관령25.6℃
  • 구름많음춘천29.9℃
  • 맑음백령도25.9℃
  • 흐림북강릉30.4℃
  • 흐림강릉33.0℃
  • 흐림동해29.6℃
  • 흐림서울30.0℃
  • 구름많음인천25.3℃
  • 구름많음원주29.0℃
  • 구름많음울릉도26.4℃
  • 구름많음수원29.0℃
  • 흐림영월26.7℃
  • 흐림충주27.8℃
  • 구름많음서산28.6℃
  • 흐림울진24.8℃
  • 흐림청주29.1℃
  • 흐림대전27.5℃
  • 흐림추풍령26.0℃
  • 흐림안동27.2℃
  • 흐림상주27.3℃
  • 흐림포항30.0℃
  • 흐림군산25.2℃
  • 흐림대구29.1℃
  • 흐림전주27.4℃
  • 흐림울산26.6℃
  • 흐림창원26.5℃
  • 흐림광주27.0℃
  • 흐림부산25.6℃
  • 흐림통영24.5℃
  • 흐림목포25.5℃
  • 흐림여수24.7℃
  • 흐림흑산도24.4℃
  • 흐림완도26.0℃
  • 구름조금고창28.8℃
  • 흐림순천24.5℃
  • 흐림홍성(예)28.2℃
  • 흐림27.8℃
  • 흐림제주23.1℃
  • 흐림고산20.2℃
  • 흐림성산20.0℃
  • 비서귀포20.3℃
  • 흐림진주25.2℃
  • 구름많음강화24.3℃
  • 구름많음양평29.2℃
  • 구름많음이천31.2℃
  • 구름많음인제29.2℃
  • 구름많음홍천29.3℃
  • 흐림태백25.6℃
  • 흐림정선군29.0℃
  • 흐림제천27.3℃
  • 흐림보은26.9℃
  • 흐림천안28.8℃
  • 흐림보령25.3℃
  • 흐림부여27.1℃
  • 흐림금산27.2℃
  • 흐림27.6℃
  • 흐림부안26.0℃
  • 구름많음임실27.5℃
  • 구름많음정읍28.4℃
  • 흐림남원27.2℃
  • 구름많음장수26.1℃
  • 구름많음고창군28.1℃
  • 구름많음영광군28.5℃
  • 흐림김해시25.8℃
  • 흐림순창군28.1℃
  • 흐림북창원27.0℃
  • 흐림양산시27.3℃
  • 구름많음보성군26.4℃
  • 흐림강진군25.8℃
  • 구름많음장흥25.8℃
  • 흐림해남25.7℃
  • 구름많음고흥26.7℃
  • 흐림의령군27.0℃
  • 흐림함양군29.2℃
  • 흐림광양시25.9℃
  • 흐림진도군25.0℃
  • 흐림봉화25.3℃
  • 흐림영주26.7℃
  • 흐림문경27.8℃
  • 흐림청송군27.9℃
  • 흐림영덕28.0℃
  • 흐림의성27.9℃
  • 흐림구미28.4℃
  • 흐림영천28.4℃
  • 흐림경주시29.4℃
  • 구름많음거창27.6℃
  • 흐림합천27.5℃
  • 흐림밀양27.6℃
  • 흐림산청26.2℃
  • 흐림거제24.5℃
  • 흐림남해25.0℃
  • 흐림26.2℃
기상청 제공
“그냥 스칠 수도 있는 곳에 큰 뜻이 있었어”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그냥 스칠 수도 있는 곳에 큰 뜻이 있었어”

유라시아아 대륙 횡단여행 소녀의 통찰 담아내

해룡고 1년 김유진의 ‘손바닥 책’

▲ 해룡고 1학년 김유진 학생

해룡고 1학년 김유진 양이 책을 냈다. 전남도교육청에서 주관하는 7월28일부터 8월12일 까지15박16일간의 독서토론열차학교에서 느낀 것들을 동화처럼 엮었다. 여행기나 감상문이 아니다. 영광군민신문은 김유진의 독서토론열차 기행문을 ‘시베리아 횡단열차에서 통일을 꿈꾸고 안중근·이상설·윤동주를 만나 미래 설계’라는 제목으로 35호(8월31일자) 1면 톱으로 실은 바 있다.

시베리아를 횡단하면서 약자와 나라 사랑을 배웠다는 유진의 책 제목은 ‘그냥 지나칠 수도 이는 곳에 큰 뜻이 있었어’다. 1부 ‘보다’와 2부 ‘쓰다’로 구성됐다.

1부 ‘보다’에서 유진은 “세상에 대한 시각을 바꿔 보는 것은 어떨까? 나는 16일 동안 유라시아 대륙을 횡단하며 내게 말 걸어오는 자연을 견문하며 톡톡 튀어오르는 생각들을 책으로 역어 보았다”고 했다.

가시 두더지 ‘덤’과 서울 쥐 ‘티미’가 세상을 엿보며 생각하는 줄거리다. 줄지어 서있는 자작나무에게 손을 맞잡으라고 하고 조약돌에게도 말을 건다. 코스모스와 두더쥐가 서로 격려하기도 한다. 밤을 밝히는 가로등에게 상을 주고 싶어하고 별들에게도 고맙다고 인사한다. 길을 잃는게 오히려 삶의 방향을 되찾아주는 이정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철학적 통찰도 담아냈다.

유진은 바이칼 호수에서 우리 민족의 소리를 듣고 우주센터에서 끝없는 도전 의지도 다졌다.

2부 쓰다- 손바닥 책은 ‘여행중 떠오른 아이디어를 모두 기록해둔 소중한 나의 소산물’이라고 했다. 7월17일부터 8월12일까지 17일간 본 것들에 아이디어를 덧칠해 그림과 함께 쓴 것들이다. 여순 감옥에서 나라사랑을 다짐하고 연변대학교에서 조선족의 풍물놀이를 보고 울컥해 전통의 소중함을 깨달았다. 우리나라는 산을 뚫어, 러시아는 산을 넘어 길을 내는 차이를 발견하고 유럽 문화에 심취한 소녀의 감수성이 전편에 묻어난다.

아무리 많은 독서를 한 어른들도 한 번쯤 일고 고개를 끄덕일 그런 책이다. 유진을 응원한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