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850.jpg

2024.06.17 (월)

  • 구름많음속초30.8℃
  • 구름많음29.3℃
  • 구름많음철원27.2℃
  • 구름조금동두천26.6℃
  • 구름조금파주26.4℃
  • 구름많음대관령23.1℃
  • 구름많음춘천28.8℃
  • 맑음백령도24.9℃
  • 구름많음북강릉29.5℃
  • 구름많음강릉31.4℃
  • 구름많음동해29.5℃
  • 구름많음서울28.8℃
  • 구름많음인천24.1℃
  • 구름많음원주28.5℃
  • 흐림울릉도23.2℃
  • 구름많음수원27.3℃
  • 구름많음영월26.2℃
  • 구름많음충주27.8℃
  • 구름많음서산26.2℃
  • 구름많음울진28.1℃
  • 흐림청주28.3℃
  • 흐림대전27.0℃
  • 구름많음추풍령25.5℃
  • 흐림안동27.1℃
  • 구름많음상주27.0℃
  • 흐림포항27.6℃
  • 구름많음군산25.8℃
  • 흐림대구27.7℃
  • 흐림전주26.9℃
  • 흐림울산25.4℃
  • 흐림창원24.7℃
  • 흐림광주26.7℃
  • 흐림부산24.6℃
  • 흐림통영24.4℃
  • 구름많음목포24.9℃
  • 흐림여수23.9℃
  • 구름많음흑산도22.5℃
  • 구름많음완도25.6℃
  • 구름많음고창26.5℃
  • 흐림순천23.5℃
  • 구름많음홍성(예)27.0℃
  • 구름많음26.8℃
  • 흐림제주24.1℃
  • 흐림고산20.9℃
  • 흐림성산20.7℃
  • 흐림서귀포20.8℃
  • 흐림진주24.2℃
  • 구름많음강화22.8℃
  • 구름많음양평27.7℃
  • 구름많음이천28.2℃
  • 구름많음인제28.2℃
  • 구름많음홍천28.3℃
  • 구름많음태백23.6℃
  • 구름많음정선군26.7℃
  • 구름많음제천26.4℃
  • 구름많음보은26.5℃
  • 구름많음천안27.7℃
  • 구름많음보령25.6℃
  • 흐림부여27.1℃
  • 구름많음금산25.9℃
  • 흐림26.2℃
  • 구름많음부안24.0℃
  • 흐림임실25.6℃
  • 구름많음정읍27.2℃
  • 흐림남원27.0℃
  • 흐림장수24.4℃
  • 구름많음고창군26.8℃
  • 구름많음영광군25.3℃
  • 흐림김해시25.0℃
  • 흐림순창군26.9℃
  • 흐림북창원25.8℃
  • 흐림양산시26.4℃
  • 구름많음보성군25.0℃
  • 구름많음강진군24.9℃
  • 구름많음장흥24.9℃
  • 구름많음해남25.8℃
  • 구름많음고흥24.6℃
  • 흐림의령군25.3℃
  • 흐림함양군26.8℃
  • 흐림광양시24.8℃
  • 구름조금진도군24.5℃
  • 구름많음봉화24.8℃
  • 구름많음영주26.2℃
  • 구름많음문경26.7℃
  • 흐림청송군24.4℃
  • 흐림영덕25.8℃
  • 흐림의성27.4℃
  • 흐림구미27.7℃
  • 흐림영천26.8℃
  • 흐림경주시26.4℃
  • 흐림거창25.5℃
  • 흐림합천25.5℃
  • 흐림밀양25.6℃
  • 흐림산청24.7℃
  • 흐림거제24.3℃
  • 구름많음남해23.3℃
  • 흐림25.3℃
기상청 제공
"품위는 스스로 지켜야..."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피니언

"품위는 스스로 지켜야..."

IE002390519_STD.jpg

사람마다 담는 그릇이 다르다. 저마다 각자의 그릇이 있다. 여기서 ‘그릇’이라는 말이 곧이곧대로 물건이나 음식을 담는 것 이상의 의미를 말할 때 사용하기도 하며, 사람의 도량이나 능력을 말하기도 한다. 그렇게 우리는 누구나 각자의 그릇이 있다. 그것의 크기를 논하기에는 필자의 그릇은 뭐 암묵하겠다.

저마다 지문이 다르듯, 저마다 사람들은 각자의 그릇이 다르다. 모양새는 물론이고 성격과 살아가는 방식, 고집 그리고 아집, 깜냥은 절대로 같을 수가 없단 말이다. 그러니 그 그릇의 크기 또한 같을 수가 있을까? 필자의 그릇은 절대적으로 도량할 수 없지만 내 것의 크기를 다른 이들과 이야기를 할 때 어느 정도 가늠할 수 있다.

그릇이 큰 사람과의 대화는 즐겁다. 필자가 지난주 만났던 사람들과의 대화가 그러했으니,

나 자신이 초라해지기도 하고 설레기를 반복하다 긍정적인 자극을 받기도 하니 말이다.

지난주 어처구니없는 뉴스를 전해 들었다. 나이 어린 도의원이 13살이나 많은 군의원을 상대로 쌍욕과 막말을 해 댔다는 뉴스를 전해 듣고 얼마 지나지 않아, 복지 시설 지부장이 복지 시설 사무국장과 막말 다툼으로 언성 높이며 폭력을 행사했다고 하는 것도 어이없는데 보복폭행까지 했다니... 완전난장판이 아닐 수 없다. 공직자의 신분으로 타의 모범이 되어야 하는 단체장들의 행동은 이해하고 싶지도 않다.

말투는 내용을 담는 그릇이다. 같은 말도 듣기 싫게 하는 사람이 있거니와 어투가 퉁명스럽거나 거친 용어를 사용하여 목소리가 유난히 공격적으로 말하는 사람이 있다. 폭언이나 막말 발언으로 상대방에게 하는 거친 말투는 의도와 다르게 타인을 겁주려는 메시지로 변할 수도 있는데 아는지 모르는지... 말이란 내용만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인격을 담고 있다는 말이다.

식품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시간이 지날수록 썩고 부패하는 식품이 있고 다른 하나는 시간이 경과 하면 할수록 숙성되면서 발효가 이루어지는 식품이 있다. 처음엔 그럴듯한 맛이 많이 나지만 쉽게 부패해버리는 식품들이 있고, 처음엔 별로 맛이 없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깊은 맛을 내는 식품들이 있다.

식품만 그런 것일까? 사람들이 하는 말에도 시간이 얼마 지나지 않아 금방 부패해버리는 정치인들의 말들이 있는가 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발효되면서 좋은 향기를 발하는 말들도 있다. (뭐, 그렇다고 해서 정치인들의 말이 다 부패했다고 생각하진 않는다.)

차마 입에 담기조차 부끄러운 말들을 거리낌 없이 쏟아내며 나오는 말마다 천박하고 추레하여 불량 식품 같기도 하고 말하는 입조차 구질구질 더러워 보이는 말을 뱉을 것이 아니고 들을수록 좋은 향기가 나는 말들을 하는 공직자가 많은 영광군이길... 그래서 처음에는 쓰고 듣기 싫을지라도 곱씹을수록 깊은 맛이 느껴지는 말들을 할 수 있는 공직자 많은 영광군이길... 시간이 지날수록 발효가 잘되어 그윽한 향기를 풍길 수 있기를...

입에서 나온다고 해서 다 말이 되는가? 말에는 그 사람의 인격이 함께 담겨 있는 것이다. 말의 격을 높이던가 말투에 맞춰 본인 격을 내리던가!!!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